deceptive vs. misleading
deceptive 기만적인, 현혹하는
애초부터 상대방을 속여 이득을 취하기 위한 목적이 있음을 일컫는 표현이다. 이는 실수가 아닌 시작부터 속일 의도가 있었음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misleading'과 차이가 있다.
일례로, 허위광고 또는 과대광고의 경우 deceptive하다고 묘사할 수 있다. A사에서 자사의 주름개선 화장품을 광고하며 이를 1회만 발라도 즉시 주름이 펴지는 효과가 있음을 주장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나 해당 화장품의 원리는 수분을 일시적으로 공급하여 주름이 개선되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이때 소비자들은 해당 광고문구를 보고 A사의 제품을 바르면 근본적인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고 오해할 수 있다. A사에서 이러한 과장광고를 통해 자사의 제품 판매량 증가를 기대하고 광고를 내보냈을 경우, 이를 'deceptive'하다고 표현할 수 있다.
예) This settlement holds Google and iHeart accountable for this deceptive ad campaign and ensures compliance with state and federal law.
misleading 오해의 소지가 있는
이는 결과적으로는 상대방에게 잘못된 정보 또는 함의를 전달하였지만, 그 시작 단계에서는 상대방을 속일 의도가 없었을 때 사용한다.
한 가지 특징은 앞서 설명한 deceptive와 같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왜일까? 사실 처음부터 속일 의도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잘 알 수 없다. 속인 회사에게 처음부터 그럴 의도가 있었냐고 묻는다면 백이면 백 그럴 의도는 없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하여 많은 경우에 'deceptive or misleading'처럼 동시에 묶음으로 자주 쓰이는 표현 같다.
예) Under its prior COVID-19 misinformation policy, the company had said it would remove “demonstrably false or potentially misleading content that has the highest risk of causing harm.”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영어공부 > 영어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로 "네 고향이 어디니?" (0) | 2022.12.08 |
---|---|
[영어표현] 마음이 아프다 : sorry, heartbroken, hate (0) | 2022.12.06 |
'타당한'을 영어로, 'feasible/plausible/legitimate' (0) | 2022.11.30 |
[영어표현] 감염병(코로나19을 예시로) : 감염되다/집단면역/증상을 보이다/ (0) | 2022.11.01 |
택배 관련 영어표현 2탄 - 택배 수령 (0) | 2022.08.14 |
댓글